민족의 영산 한라산에 가다. > 종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8.14 (목)
  • 로그인
 파워미디어  파워미디어  파워미디어

종합뉴스

민족의 영산 한라산에 가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7-03-13 13:01

본문

한라산은 삼신산의 하나로 옛날부터 우리나라 명산으로 알려져 왔고 제주도 중앙에서 그 줄기는 동서로 뻗어 있으며 남쪽은 급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는 다소 높으면서 평탄하고 광활하다.

한라산은 지질학상 신생대 제4기에 화산분출로 생성된 휴화산으로 대부분 현무암으로 덮여 있는데 산마루에는 분화구였던 백록담이 있으며 고산식물의 보고로서 식물의 종류도 무려 1,800여 종이나 되어 울창한 자연림과 더불어 광대한 초원이 장관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높은 절벽과 깎아지른 듯한 비탈, 그리고 얕은 계곡의 기암괴석 등 빼어난 자연경관과 이 산의 명물로 꼽히는 진달래 군락이 또한 아름답다. 그밖에 천자만홍에 덮인 가을의 만산홍엽은 빼놓을 수 없는 경관이며, 유독 눈 속에 잠긴 설경의 한라는 절경 중의 절경으로 꼽힌다.

"올해는 꼭 눈쌓인 백록담을 보리라."기자는 굳게 마음 먹었다. 아침일찍 배낭을 꾸려 6시40분 제주행 첫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첫비행기를 타고 제주공항에서 택시를 타고 약 20분여가 소요되는 성판악에 8시30분이전에 도착하면, 당일등반이 가능하다. 제주공항에서 성판악까지의 택시요금은 1만5천원으로 꼭 미터요금으로 가자고 해야 한다. 기사마다 2만원 2만5천원을 부르기도 한다.

코스는 성판악-진달래대피소-백록담-관음사의 평이한 코스를 선택했으며, 등반시간은 8시간이 소요되었다. 3월까지는 아이젠은 필수이며, 스틱또한 긴 하산코스에 무릎관절을 보호하는대 필요하므로 꼭 챙기도록 하자.

P2270007.JPG

비행기에서 바라본 한라산. 구름위로 보이는 모습이 과연 민족의 영산 답다.

P2270010.JPG

성판악 등산로는 완만해서 가족단위로 산책하듯 등반하기 좋다.

P2270016.JPG

성판으로 부터 약 3시간 남짓 등반하면 진달래 대피소다..이곳에 12까지 도착해야만 백록담 등반이 가능하다. 사발면등을 판매하며, 간단한 요기를 할수있다.

P2270018.JPG

제주도 서귀포쪽으로는 조그만한 동산들이 많다.

P2270022.JPG

푸른하늘과 기암괴석과 수많은 까마귀들..이국적인 풍경이다.

P2270032.JPG

백록담에 쌓인눈.. 푸른바다와 흰눈을 잊지 못할것 같다.

P2270036.JPG

관음사 하산코스는 굽이굽이 돌아설때마다 풍경이 바뀌며 아름답다.

P2270053.JPG

크라운 바위...마치 산위에 철옹성을 인공적으로 쌓아놓은듯하다.

P2270056.JPG

겨울과 봄이 공존하는듯 묘한 분위기..

P2270057.JPG

조금 힘들고 코스가 길도라도 관음사에서 출발하는것도 괜찮을듯하다.

모든산이 그렇지만 한라산역시 각 계절별로 특색이 있다.

조금있으면 날도 따뜻해지고, 꽃도 피고, 신혼여행객등 많은 이들이 제주를 찾을것이다.

한라산도 옷을 갈아입고 새색시처럼 수수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뽐낼것이다.

매번 제주에 와보면 정말 이국적이고 아름다운곳인대, 홍보및 현지물가, 비행기요금등 제주를 방문하는 비용이 주변국의 여행지와 별 차이가 없어지며 제주만의 특색과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

제주도는 앞으로 치열해지는 주변국의 관광지와 경쟁에서, 가격경쟁력확보및 새로운 여행상품개발, 합리적인 서비스마인드를 갖추지 못한다면 제주도는 그저 그런 관광지가 될것이다.

제주도를 너무 사랑하고 산을 사랑하는 기자는 제주도가 더욱더 살기좋고, 풍요롭고,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영원한 우리마음과 몸의 휴식처로 기억되기를 기원한다.

강한신문 스포츠성남 홍영기기자.

icon_arrow.gif 공원이용시설
  • 관리사무소 : 4개소 4동
  • 대피소 : 6동
  • 화장실 : 49동
    (수세식 9, 발효식 40)
  • 주차장 : 5개소
  • 등산로 : 6개코스
  • 야영장 : 1개소
icon_arrow.gif 백록담 정상부 현황
  • 일반현황
    • 위치 : 동경 126˚32´31˝ / 북위 33˚21´31˝
    • 소재지 : 서귀포시 토평동 산 15번지
    • 분화구면적 : 210,230㎡(63,000평)
    • 담수면적 : 11,460㎡(3,466평)
    • 분화구깊이 : 108m
    • 분화구표고 : 1,841.7m
    • 분화구둘레 : 1,720m
    • 분화구의 장반경(동-서) 약 600m,
      단반경(남-북) 약 400m
    • 정상(서능) : 해발 1,950m, 동능 :
      해발 1,933m
    • 지질 : 서북벽 주위(조면암), 동능 등(현무암)
    • 분화구내 식물분포 : 167종
  • 관리현황
    • 문화재보호법 제8조 규정에 의한
      천연보호구역 지정
      (천연기념물 제 182호, 1966. 10. 12)
    • 자연공원법 제4조 규정에 의한
      국립공원 지정
      (건설부고시 제28호, 1970. 3. 24)
icon_arrow.gif 안내문의
주소(본소)
(690-20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도로(해안동 산 220-1) 제주도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대표전화 : (064) 713-9950, (064)713-9951 팩스 : (064) 747-5977
이메일 : xchg010@ejeju.net

어리목매표소 : (064) 713-9950
영실매표소 : (064) 747-9950
성판악매표소 : (064) 725-9950 관음사매표소 : (064) 756-9950
윗세오름매점 : (064) 743-1950




    의회
    고도제한
    선샤인밀양테마파크
    성남시의회

성남시



25

25

24

25

25

25

25

23

26

24

24

27
08-14 07:11 (목) 발표

ss


경기도 성남시 금광2동 3685번지 메일 : ks0282@daum.net
사업자등록번호 : 184-15-02106 등록일(창간일) 2006.12.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조정환
발행인/편집인 : 조정환 전화번호 : 031-763-5113 | 제호 : 파워미디어 : 등록번호 : 경기 아 00078
Copyright ⓒ 2013 powermedia.co.kr All rights reserved.
.